이는 디렉터리 구조를 가진 파일 스토리지의 유형으로, 해당 포스트에서 파일 스토리지에 대해 적어놨으니 참고하자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Associate - EBS
1. 스토리지 개요먼저, EC2 Instance Storage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장소로 보관 방식과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스토리지 종류에는 1) 블록 스토리지, 2) 파일 스토리지, 3) 객체 스토
maehyuk.tistory.com
1. Elastic File Storage : EFS
EFS란, Elastic File Storage의 약자로 온프레미스 환경과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완전 관리형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으로 EFS를 생성하여 서버에 연결하면 사용한 만큼 스토리지 크기가 자동 확장되며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여 용량 제한없이 사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EBS와 달리 여러 EC2 인스턴스에 마운트가 가능하며, 인스턴스들은 서로 다른 AZ에 존재하여도 무방하다.
- EFS는 범용 SSD 볼륨인 GP2 EBS 기준으로 3배 정도의 가격이지만, 확장성이 높다.
- Window는 지원하지 않으며, Linux 기반 AMI에만 호환이 가능하다.
- KMS을 사용하여 EFS 드라이브 암호화가 가능하다.
1-1. EFS 성능
성능 모드란, 파일시 시스템의 성능을 정의하며 아래 두 가지 모드로 구분되며, 처리량 모드량 파일 시스템이 사용할 수 있는 처리량을 의미하며 아래 세 가지 모드로 구분된다.
- 성능 모드 :
General Purpose (Default) : 파일 시스템의 기본 성능 모드로, 지연 시간이 짧다는 특징이 가짐 |
Max I/O : 처리량을 최대화하기 위한 성능 모드로, General Purpose Mode이 비해 지연 시간이 길다. |
- 처리량 모드 :
Bursting Mode: 기본 처리량 1TB을 제공하며, 스토리지 용량에 따라 처리량이 확장되어야 하는 워크로드에 적합 |
Provining Mode : 사용한 만큼 처리량이 증가되는 모드로, 예측할 수 없는 워크로드에 사용 |
Elastic Mode : 필요한 처리량을 알고 있는 워크로드에 적합한 처리량 모드 |
1-2. Storage Class
- Storage Tier (스토리지 계층)
Standard : 이는 자주 액세스하는 계층으로, 접근이 많은 파일들을 저장하는 계층이다. |
Infrequent Access (EFS-IA) : Standard 계층보다 액세스 빈도가 적은 계층으로, 해당 계층에서 저장 비용은 적지만, 검색 시 비용이 발생하기에 수명 주기 정책 설정이 필요하다. |
Archive : 이는 거의 액세스하지 않는 계층으로, 약 50% 비용이 절감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 Availability and Durability (가용성과 내구성)
Standard : 이는 다중 AZ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적합한 모드이다. |
One-Zone : Standard와 달리 하나의 AZ에 설정되어 있으며, 백업은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다. 이는 저렴한 옵션을 선택할 경우 사용되어 진다. |
Storage Tier에서 생명주기 정책을 통해 계층 간 이동하는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Infra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SG 개념 (0) | 2025.01.07 |
---|---|
[AWS] ELB 개념 (1) | 2024.12.28 |
[AWS] EBS 개념 (3) | 2024.12.18 |
[AWS] EC2 개념 (2) | 2024.12.16 |
[AWS] IAM 개념 (0) | 2024.12.14 |